목록programming (3)
hmk run dev
프로그래밍에서의 BufferBuffer(버퍼)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속도 차이 해결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등의 장치는 서로 다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버퍼를 사용하면 빠른 장치가 느린 장치를 기다리지 않고 계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예: 키보드 입력 버퍼, 그래픽 렌더링 버퍼, 스트리밍 버퍼데이터 변환 및 가공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나누거나, 변환할 때 중간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예: 동영상 인코딩, 오디오 프로세싱I/O 성능 최적화디스크나 네트워크와 같은 느린 장치에서 데이터 입출력을 할 때, 여러 번의 작은 작업을 모아 한 번에 처리하면 성능이 향상됩니다.예: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캐시(Buffer C..

프로그래밍의 핵심은 유저들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것 개발자는 자신이 기술자라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너무 구체적인 것에 집중해선 안됩니다. 소비자에게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하여 그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을 개발해야 합니다. 개발자는 “세상을 어떻게 더 좋게 만들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해야만 합니다. 당신이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면 세상은 더 좋은 곳이 될 수 있을 겁니다. 특정한 아키텍처나 기술 또는 코드 시퀀스에대해 약간의 자부심을 가지는 것은 좋습니다. 그러나, 최우선적으로, 제품이 가치를 줄 수 있는 가를 생각해야 좋은 프로그래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유저를 위해 일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기술적 역량이 있다면, 최소한의 노력으로 가장 많은 가치를 제공하는 디자인을 만들어 내야 ..

OOP란 Object-Oriented Programming 의 줄임말 객체지향과 대비되는 말로 절차지향이 있다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함수단위로 쪼개 큰 문제를 작은 단위들로 나누어 해결하는 방식으로 top-down 방식이라고도 한다. 프로그램을 설계할떄 객체지향 보다 비교적 적은시간이 들긴하지만 필요한 데이터가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고 프로그램에 변화를 주었을때 여기저기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등이 있다. 객체지향은 큰 문제를 작게 나누는 것이 아닌 작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객체들을 만들어 객체끼리 서로 소통하면서 큰문제를 해결하는 bottom-up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설계시 비교적 시간이 오래걸리지만 코드의 재사용성, 유지보수의 용이, 간결한 코드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