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k run dev
기본 경제용어 정리 본문
- 가산금리 (Spread)
- 기본 금리에 덧붙여지는 추가 금리.
- 예: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 기준 금리 3%에 가산금리 1%가 더해져 총 4%의 금리를 적용받음.
- 경기동향지수 (Business Cycle Indicator)
- 경제 활동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수.
- 예: 경기가 좋을 때는 상승하고, 나쁠 때는 하락함.
- 경상수지 (Current Account Balance)
- 한 나라가 외국과 거래한 상품, 서비스, 소득의 차이.
- 예: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경상수지 흑자.
- 고용률 (Employment Rate)
- 일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
- 예: 100명 중 60명이 일하고 있으면 고용률은 60%.
- 고정금리 (Fixed Interest Rate)
- 대출 기간 동안 변하지 않는 금리.
- 예: 5년간 고정금리 3%로 대출 받음.
- 고통지수 (Misery Index)
- 실업률과 물가 상승률을 더한 값.
- 예: 실업률 5% + 물가 상승률 3% = 고통지수 8%.
- 골디락스경제 (Goldilocks Economy)
- 경기 과열도, 침체도 아닌 적당한 경제 상태.
- 예: 경제 성장률 2
3%, 물가 상승률 12% 수준의 안정적 경제.
- 공공재 (Public Goods)
-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
- 예: 국방, 공원.
- 공급탄력성 (Price Elasticity of Supply)
- 가격 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반응 정도.
- 예: 가격이 10% 오를 때 공급량이 20% 늘면 공급탄력성이 큼.
- 공매도 (Short Selling)
-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싼 가격에 사서 갚는 거래.
- 예: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하고 미리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음.
- 국가신용등급 (Sovereign Credit Rating)
- 국가의 신용도를 평가한 등급.
- 예: 신용등급이 높으면 국가가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 국채 (Government Bond)
-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 예: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도로 건설 자금을 마련함.
- 금본위제 (Gold Standard)
- 화폐의 가치를 금과 연계한 제도.
- 예: 금 1온스가 100달러라면 100달러 지폐는 1온스의 금으로 교환 가능.
- 금산분리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 금융업과 산업 자본의 분리.
- 예: 대기업이 은행을 소유하지 못하게 규제함.
- 기업공개 (IPO, Initial Public Offering)
- 기업이 주식을 공개해 증권시장에 상장하는 것.
- 예: 스타트업 회사가 성장해 주식을 발행하고 상장함.
- 기준금리 (Base Rate)
- 중앙은행이 설정하는 금리.
- 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로 설정하면 다른 은행들도 이를 참고하여 대출 금리 설정.
- 기축통화 (Key Currency)
- 국제 거래에서 중심이 되는 통화.
- 예: 미국 달러, 유로, 엔화.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 어떤 선택을 했을 때 포기한 다른 선택의 가치.
- 예: A를 선택하면 B를 포기해야 하는데, B의 가치가 기회비용.
-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
- 상위 계층의 부가 아래로 흘러가 전체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
- 예: 부유층의 소비가 증가하면 중산층과 하위 계층에도 혜택이 돌아감.
- 단기금융시장 (Money Market)
- 만기가 짧은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
- 예: 기업이 자금을 잠시 빌리기 위해 단기 채권을 발행함.
- 대외의존도 (Degree of External Dependence)
- 경제가 외국과의 거래에 얼마나 의존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 예: 수출 비중이 높으면 대외의존도가 높음.
- 대체재 (Substitute Goods)
- 비슷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재화.
- 예: 버터와 마가린, 커피와 차.
- 더블딥 (Double Dip)
- 경기 회복 후 다시 침체에 빠지는 현상.
- 예: 경기 회복세를 보이다가 다시 불황에 빠짐.
- 디커플링 (Decoupling)
- 한 나라의 경제가 다른 나라의 경제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현상.
- 예: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져도 한국 경제는 성장하는 경우.
- 디플레이션 (Deflation)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 예: 소비가 줄어들어 상품 가격이 계속 떨어짐.
- 레버리지 효과 (Leverage Effect)
- 차입금을 이용해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것.
- 예: 100만원을 빌려서 10% 수익을 내면 자기자본 수익률이 상승함.
- 만기수익률 (Yield to Maturity, YTM)
-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률.
- 예: 만기 10년 채권의 만기수익률이 5%라면, 만기까지 연 5%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음.
- 마이크로 크레디트 (Microcredit)
- 소액 대출을 통해 저소득층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금융 서비스.
- 예: 작은 자영업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소액 대출을 제공.
- 매몰비용 (Sunk Cost)
-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비용.
- 예: 프로젝트에 투자한 돈이 실패해도 돌려받을 수 없는 비용.
- 명목금리 (Nominal Interest Rate)
- 물가 상승을 고려하지 않은 금리.
- 예: 명목금리 5%일 때 실질 금리는 물가 상승률을 제외한 값.
- 무디스 (Moody's)
- 신용평가 기관 중 하나로, 기업 및 국가의 신용도를 평가.
- 예: 무디스가 국가 신용등급을 높이면 그 나라의 신용도가 높아짐.
- 물가지수 (Price Index)
-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
- 예: 소비자 물가지수가 2% 상승하면 물가가 2% 오른 것.
- 뮤추얼펀드 (Mutual Fund)
- 다수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아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
- 예: 투자자들이 모은 돈으로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해 수익을 분배.
- 뱅크런 (Bank Run)
- 예금자들이 대거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
- 예: 은행의 파산 소문이 돌면 예금자들이 돈을 찾으려고 몰림.
- 베블런효과 (Veblen Effect)
-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
- 예: 명품 가방의 가격이 올라갈수록 더 많이 팔림.
- 변동금리 (Floating Interest Rate)
- 시장 금리에 따라 변동하는 금리.
- 예: 3개월마다 한 번씩 금리가 조정되는 대출.
- 보호무역주의 (Protectionism)
-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무역을 제한하는 정책.
- 예: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여 자국 산업을 보호.
- 본원통화 (Base Money)
- 중앙은행이 발행한 화폐와 시중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예금.
- 예: 중앙은행이 돈을 찍어내고 은행들이 이를 예치함.
- 부가가치 (Value Added)
- 생산 과정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가치.
- 예: 원재료 100만원을 가공해 200만원의 제품을 만들면 부가가치 100만원.
- 부채담보부증권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CDO)
- 여러 부채를 모아 만든 증권.
- 예: 주택담보대출을 묶어 만든 금융상품.
- 부채비율 (Debt Ratio)
- 자산 대비 부채의 비율.
- 예: 자산 100억원에 부채 50억원이면 부채비율은 50%.
- 분수효과 (Fountain Effect)
- 저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경제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
- 예: 정부가 저소득층 지원을 늘리면 소비가 증가해 경제가 활성화됨.
- 빅맥지수 (Big Mac Index)
- 각국의 물가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빅맥 햄버거 가격을 이용하는 지수.
- 예: 한국에서 빅맥이 4천원, 미국에서 5달러면 환율을 비교 가능.
- 상장지수펀드 (ETF, Exchange-Traded Fund)
-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펀드.
- 예: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면 코스피200과 비슷한 수익을 기대.
-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
- 주식시장이 급격히 하락할 때 거래를 일시 중지하는 제도.
- 예: 주가가 일정 수준 이상 하락하면 거래를 멈춰 패닉을 방지.
- 선물거래 (Futures Trading)
- 미리 정한 가격으로 특정 상품을 미래에 사고 파는 거래.
- 예: 농부가 수확 전에 곡물을 미리 판매해 가격 변동 리스크를 줄임.
- 소득주도성장 (Income-Led Growth)
- 소득 증가를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
- 예: 최저임금을 인상해 근로자의 소비를 늘리고 경제 성장을 도모.
- 수요탄력성 (Price Elasticity of Demand)
-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반응 정도.
- 예: 가격이 10% 오를 때 수요량이 20% 줄면 수요탄력성이 큼.
- 스왑 (Swap)
- 서로 다른 조건의 자산이나 부채를 교환하는 거래.
- 예: 금리 스왑은 고정 금리와 변동 금리를 서로 교환.
- 스톡옵션 (Stock Option)
- 회사가 직원에게 일정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부여.
- 예: 직원이 정해진 가격에 주식을 매수해 수익을 얻음.
- 시뇨리지 (Seigniorage)
- 화폐 발행을 통해 얻는 이익.
- 예: 1만원짜리 지폐를 500원에 만들어 발행하면 9500원의 이익.
- 신용경색 (Credit Crunch)
- 금융기관들이 대출을 줄이고 자금 공급이 어려워지는 현상.
- 예: 금융위기로 인해 은행들이 대출을 꺼려함.
- 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Warrant, BW)
- 채권에 일정 가격으로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어 있는 것.
- 예: 채권을 사면 나중에 신주를 일정 가격에 매수할 수 있음.
- 실질임금 (Real Wage)
-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임금.
- 예: 명목임금 100만원이지만 물가가 오르면 실질임금은 줄어듦.
- 애그플레이션 (Agflation)
- 농산물 가격 상승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현상.
- 예: 기후 변화로 농작물 수확이 줄어들어 물가가 오름.
- 양도성예금증서 (CD, Certificate of Deposit)
- 양도가 가능한 정기 예금증서.
- 예: 은행에서 발행한 예금증서를 다른 사람에게 팔 수 있음.
- 양적완화정책 (Quantitative Easing, QE)
- 중앙은행이 자산을 매입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
- 예: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들여 시장에 돈을 풀어 경기 부양.
- 어음관리계좌 (CMA, Cash Management Account)
- 어음을 기반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금융 상품.
- 예: 자금을 어음에 투자해 높은 이자율을 제공.
- 연방준비제도 (FRS)/연방준비은행 (FRB) (Federal Reserve System/Bank)
- 미국의 중앙은행 제도.
- 예: 미국 경제를 조정하고 통화 정책을 결정.
- 엥겔의 법칙 (Engel's Law)
- 소득이 증가할수록 식료품에 지출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법칙.
- 예: 소득이 높아질수록 식료품비 비중은 줄어들고 여가비 비중은 늘어남.
- 역모기지론 (Reverse Mortgage)
- 주택을 담보로 매월 연금을 받는 제도.
- 예: 은퇴 후 집을 담보로 매달 생활비를 받음.
- 예대율 (Loan-to-Deposit Ratio)
- 예금 대비 대출의 비율.
- 예: 예금이 100억원이고 대출이 80억원이면 예대율은 80%.
- 옵션 (Option)
- 미래의 일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자산을 사고 팔 수 있는 권리.
- 예: 콜옵션은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
- 외환보유액 (Foreign Exchange Reserves)
-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국 통화와 자산.
- 예: 경제 위기 시 외환보유액을 사용해 환율을 안정시킴.
- 워크아웃 (Workout)
- 부실 기업을 재건하기 위한 채권자와의 협상.
- 예: 재정 문제가 있는 기업이 채무 재조정을 통해 회생을 도모.
- 원금리스크 (Principal Risk)
- 투자 원금의 손실 가능성.
- 예: 주식에 투자해 원금을 잃을 위험.
- 유동성 (Liquidity)
- 자산을 쉽게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도.
- 예: 현금은 가장 유동성이 높은 자산.
- 이중통화채 (Dual Currency Bond)
- 발행과 상환이 서로 다른 통화로 이루어지는 채권.
- 예: 달러로 발행되고 유로로 상환되는 채권.
- 자기자본비율 (Equity Ratio)
- 자본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
- 예: 자본 100억원 중 자기자본이 60억원이면 자기자본비율은 60%.
- 자발적 실업 (Voluntary Unemployment)
- 근로자가 스스로 선택한 실업.
- 예: 더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현재 일을 그만둠.
- 장단기금리차 (Yield Curve Spread)
- 장기 금리와 단기 금리의 차이.
- 예: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5%, 1년 만기 국채 금리가 3%면 장단기금리차는 2%.
- 장외시장 (Over-The-Counter, OTC)
- 정식 거래소가 아닌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 상품.
- 예: 비상장 주식이나 채권이 장외시장에서 거래됨.
- 전환사채 (Convertible Bond)
-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채권.
- 예: 채권을 일정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가능.
- 정크본드 (Junk Bond)
-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고위험 고수익 채권.
- 예: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가 높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
- 제로금리정책 (Zero Interest Rate Policy)
- 중앙은행이 금리를 0%에 가깝게 유지하는 정책.
- 예: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0%로 설정.
- 주가수익률 (PER, Price Earnings Ratio)
-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
- 예: 주가가 10만원, 주당순이익이 1만원이면 PER은 10.
- 주가지수 (Stock Index)
- 여러 주식의 가격을 종합해 산출한 지수.
- 예: 코스피, 나스닥.
- 조세부담률 (Tax Burden Ratio)
- 국민 총소득 대비 세금의 비율.
- 예: 소득 100만원 중 세금이 20만원이면 조세부담률은 20%.
- 주당순이익 (EPS, Earnings Per Share)
- 순이익을 발행 주식 수로 나눈 값.
- 예: 순이익이 1억원, 발행 주식이 10만주면 EPS는 1천원.
- 중앙은행 (Central Bank)
- 국가의 통화 정책을 담당하는 은행.
- 예: 한국은행, 미국 연방준비은행.
- 증거금 (Margin)
- 금융 거래 시 일정 금액을 예치하는 것.
- 예: 선물 거래를 위해 거래 금액의 일부를 증거금으로 납부.
- 지주회사 (Holding Company)
- 다른 회사를 지배할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
- 예: A회사가 B회사의 주식 50% 이상을 소유해 지배함.
- 추심 (Collection)
-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빚을 갚으라고 요구하는 것.
- 예: 은행이 연체된 대출금 회수를 위해 추심 절차를 밟음.
- 치킨게임 (Chicken Game)
- 두 당사자가 서로 양보하지 않으면서 극한 대립을 이어가는 상황.
- 예: 두 나라가 서로 관세를 높이면서 무역 전쟁을 벌임.
- 카르텔 (Cartel)
- 기업들이 가격, 생산량 등을 담합하여 시장을 지배하는 행위.
- 예: OPEC 국가들이 석유 생산량을 조절해 가격을 통제.
- 콜옵션 (Call Option)
- 특정 가격에 자산을 살 수 있는 권리.
- 예: 콜옵션을 행사해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수.
- 통화스왑 (Currency Swap)
- 서로 다른 통화를 일정 기간 교환하는 계약.
- 예: 한국과 일본이 원화와 엔화를 일정 기간 교환.
- 투자은행 (Investment Bank)
- 기업의 자금 조달, 인수합병 등을 돕는 금융 기관.
- 예: 골드만삭스, JP모건.
- 특수목적기구 (SPV, Special Purpose Vehicle)
- 특정 목적을 위해 설립된 법인.
- 예: 자산 유동화 등을 위해 설립된 기구.
- 파생금융상품 (Derivatives)
- 기초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 상품.
- 예: 선물, 옵션.
- 평가절하 (Devaluation)
- 한 나라의 통화 가치가 하락하는 것.
- 예: 정부가 환율을 높여 수출 경쟁력을 높임.
- 표면금리 (Coupon Rate)
- 채권 발행 시 약정된 이자율.
- 예: 5% 표면금리를 가진 채권은 매년 5%의 이자를 지급.
- 한계비용 (Marginal Cost)
- 추가로 한 단위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
- 예: 100개를 생산할 때 1개 추가 생산 비용이 5천원.
- 헤지펀드 (Hedge Fund)
- 고수익을 추구하며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는 투자 펀드.
- 예: 위험을 분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자산에 투자.
- 환율조작국 (Currency Manipulator)
- 자국의 환율을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국가.
- 예: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통화 가치를 낮추는 나라.
- M&A (Mergers and Acquisitions)
- 기업 인수합병.
- 예: A회사가 B회사를 인수해 합병함.
- 매출채권회전율
특정기간동안 매출채권이 얼마나 현금화 됐는지, 회전일수는 외상값을 받는데 얼마나 걸렸는지 확인하는 지표다.
매출채권회전이 중요한이유는 기업이 빠른시간안에 유동성을 확보해야 향후경영에 사용할 수 있기때문 - 재고자산회전율
매출액을 재고자산으로 나눈 비율, 재고자산이 얼마나 빨리 팔려나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짧으면 짧을 수록 좋다고 볼 수 있음 => 재고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