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k run dev
리액트 라우팅 history 본문
history
리액트에서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는 이유는 react-router-dom을 이용하여 페이지의 기록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아래 샘플 코드의 App.js에서와 같이 Router로 컴포넌트의 Path와 라우팅할 컴포넌트를 정해줄 수 있는데, 해당하는 라우터는 props를 통해 history 객체를 전달받게 된다.
history 객체를 콘솔로 찍어보면 아래와 같이 goBack(), goForward() 등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메소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메소드와 관련 객체들이 존재한다.
이 중 라우팅 변경을 위해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메소드가 push()인데, history.push('이동하고자 하는 path') 를 통해 원하는 컴포넌트로 이동이 가능하다.
>> history 객체를 props로 넘겨줘야 라우팅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하기 편하다? 정도로 알아두었다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각 스케줄 인덱스 값 url 파라미터 (/:index) (0) | 2021.03.23 |
---|---|
리덕스 모듈 + 스토어 , 스토어 사용방법 세세하게 (0) | 2021.03.23 |
리덕스에서 FireStore 사용해보기 (0) | 2021.03.22 |
클릭하면 색이 바뀌는 Event (0) | 2021.03.22 |
리액트 인풋 Event 파헤쳐보자! (0) | 2021.03.2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