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k run dev
젠킨스를 이용한 빌드 본문
젠킨스 설치 실행 local에 띄우기 이 부분은 생략 검색하면 많다...!
1. 젠킨스 관리 > 플러그인 설치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 github
- github api
- maven (메이븐 빌드 시)
2. 젠킨스 관리 > Global tool configuration
- JDK 설정
- MAVEN 설정(왠만하면 3 이상 추천)
3. new item > 새프로젝트 만들기
- maven project 선택
- 프로젝트 이름 입력
4. general 탭
- github project 체크
- 배포할 github 링크 복사 붙여넣기
- 소스관리 git 다시 링크 붙여넣기
- */main 브랜치 선택
- 일단은 빌드 트리거는 모두 체크해체..
- goals and options > clean package 입력
- 저장
5. Build Now
6. 빌드 결과물 확인 > workspace > target // jar 파일이 생성된게 확인됨 ( Build )
jar 파일 클릭시 다운로드 > 해당 파일에서 cmd를 켜 파일실행
7. 이제 이 파일을 ec2에 넘겨줘서 위와 같이 실행 시켜줘야한다. ( 빌드 후 조치 )
Name - 설정한 ec2 서버
Source files - 6번 빌드 결과물
Remote directory - 빌드 결과물을 넣어줄 폴더
mkdir diary_api 리눅스 명령어로 폴더를 만들어 주고
파일 전송 확인
Exec command - 결과물을 넣어주고 실행할 리눅스 명령어
vi [쉘스크립트 이름]으로 생성한다.
!#/bin/bash
echo "Start Spring Boot Application!"
CURRENT_PID=$(ps -ef | grep java | grep dokotlin | awk '{print $2}')
echo "$CURRENT_PID"
if [ -z $CURRENT_PID ]; then
echo ">현재 구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없으므로 종료하지 않습니다."
else
echo "> kill -9 $CURRENT_PID"
kill -9 $CURRENT_PID
sleep 10
fi
echo ">어플리케이션 배포 진행!"
nohup java -jar /home/ubuntu/diary_api/jwtex01-0.0.1-SNAPSHOT.jar
요약 - ec2에 빌드 결과물을 넣어주고 실행한다
참고
https://velog.io/@sa1341/Jenkins%EC%97%90%EC%84%9C-EC2%EB%A1%9C-%EB%B0%B0%ED%8F%AC%ED%95%98%EA%B8%B0
'CI&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버네티스 pod (0) | 2025.02.02 |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마스터 & 워커 노드 관리방식 (0) | 2025.02.02 |
컨테이너와 오케스트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