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k run dev
SAA/2024-09-18 본문
고가용성이란?
사용자 서비스를 요청할 때 언제든 서비스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이중화를 하여 설계된다.
ex) 모든 single point component 장애 시에 대응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높은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자원을 몇 개의 Availabilty Zone이 제공되어야하는가?
최소 한 개이상
모든 고객들은 낮은 latency를 요규하기 때문에 AWS에서 지원할 수 있는 것은?
High availablity
-> latency 즉 패킷의 출발지점부터 도착지까지의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고가용성(High availablity)을 제공해야한다.
AWS 클라우드의 멀티 리전의 예제는?
Agility(민첩성)
-> aws의 다중 리전 애플리케이션은 내결함성이 뛰어나며 장애 발생 시에 백업 리전으로 간편하고 빠르게 장애를 해결함
AWS 리전, 가용 영역, 엣지 로케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리전에 가용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 리전은 물리적 위치이고 가용 영역은 리전 내에 논리적 센터
On-Demand 비용보다 예약 인스턴스 가격 모델이 평균적으로 비용을 줄이는 것은?
Three-year, All Upfront Standard RI pricing
-> RI(Reserved Instance)는 예약 인스턴스를 의미하고 3년간 모두 선결제(All Upfront) 하는 것이 가장 저렴하다.
시스템의 성능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AWS 환경을 조사하여 기회를 찾아 제공하는 AWS 서비스는?
AWS Cost Explorer
-> 비용 데이터를 가시화하여 각종 차트로 분석할 수 있게 한다.
On-Premise의 TCO와 AWS TCO를 비교할 때 포함해야 하는 비용은?
Project Management
-> TCO(Total Cost Ownership)는 총 비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프로젝트 관리 비용도 포함되어야 한다.
전통적이고 가상화된 데이터 센터와 AWS를 비교해서 AWS의 비용적 효과는?
낮은 가변적 비용과 낮은 선불 비용
-> AWS는 비용 변화의 요소가 적고 이상적으로 비용이 변화하면 기계학습을 통해서 이상 감지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모든 비용을 예약비용으로 할 때 비용이 절감되면, 이때 선불로 모두 지불하는 것이 가장 비용이 절감된다.
Amazon EC2 인스턴스의 가격 모델에서 90% 정도의 금액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스폿 인스턴스
-> 스폿 인스턴스라는 것은 아마존이 구매한 서버 중 사용자가 없는 서버를 낮은 비용으로 경매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용 절감 효고가 가장 크다.
AWS EC2 가격 모델 중 고개들의 Server bound software licenses가 있는 경우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하나?
전용 호스트
-> Server bound software licenses라는 것은 서버와 관련한 전용 라이선스가 있다는 것이고, 이때는 전용 호스트를 사용
기업은 AWS의 어떤 기능 또는 서비스를 사용해서 상세 수준의 지출을 추적하고 서비스 할 수 있는가?
AWS Budgets
-> AWS Budgets는 유동적인 예상 및 예측 기능을 사용해 비용계획을 수립하거나 관리함
AWS Cloudtrail은 AWS 계정에 대한 규정 준수, 운영, 위험을 감시하는 서비스로 사용자 AWS 서비스에 대해서 수행한 작업은
Cloudtrail의 이벤트에 모두 기록도니다. 기록되는 이벤트는 AWS SDK 및 API 호출 등이다.
AWS 모범사례에 따라 AWS에서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어떻게 생성해야 하는가?
소프트웨어 설계 원칙은 약결합(느슨한 결합) 시스템으로 구성해야한다. 약결합 시스텝이란 각 애플리케이션의 독립성은 향상시키고 애플리케이션 간의 관련성은 낮추는 설계방법이다.
AWS 리전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
가격, 서비스 가용성 및 규정 준수, 지연시간
리전은 가용 영역들의 묶음이고 가용 영역은 데이터센터의 묶음이다
AWS 리전은 고가용성을 위해 가용 영역의 클러스터이고 가용 영역은 데이터 센터의 클러스터이다.
- 리전은 지역 단위의 큰 그룹입니다. (예: 서울, 도쿄, 뉴욕)
- 가용 영역은 그 지역 안에 있는 작은 그룹들입니다. 가용 영역 하나는 여러 데이터 센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AWS는 이렇게 지역을 나누고 그 안에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센터들을 묶어서 고가용성(장애에 대비해 시스템을 계속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보장합니다.
즉, 리전은 여러 가용 영역이 모인 큰 그룹이고, 가용 영역은 실제 데이터 센터가 모여 있는 작은 그룹이라고 보면 됩니다.
탄력성이란 비즈니스 수요에 맞추어 서비스를 빠르게 생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것
고가용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몇 개의 가용영역에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해야 하는가?
최소 2개
- 클라우드 AWS 자격증으로 시작하기 69p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SAA) 오답 및 해설 2024-09-08 (0) | 2024.09.08 |
---|---|
EC2 인스턴스 접속 (0) | 2022.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