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02)
hmk run dev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WYvy/btrqM45aS9T/1KDZQUK4rNzageqwXrn5z0/img.png)
자바 혹은 코틀린으로 개인 프로젝트 네이티브 앱을 만드려고 했지만 리액트를 사용해본 경험 + 크로스 플랫폼의 엄청난 장점으로 인해(성능적 이점은 네이티브보다 좀 떨어 질수 있지만 ^^..) RN를 이용해 처음으로 어플을 만들어 보려고한다..! 회사에서도 요즘은 vue만 사용해 리액트에 대한 기억도 상기 시킬겸 겸사겸사 최고의 선택지인것 같다..! 설치방법은 윈도우 기준입니다. 1. 초코렛티 설치 자세한 용도는 모르지만 윈도우에서 sudo와 같은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https://chocolatey.org/install#individual Installing Chocolatey Chocolatey is software management automation for Windows 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GunC/btrqCTglV5k/pBGWaRH5eKENimTurkcodK/img.png)
스코프와 클로저 그리고 this를 모두 적절하게 이용한 코드를 보면서 이해해 보자! let that = this; 기본적으로 this는 window를 가르키지만 vue에선 보통 현재 컴포넌트를 가리킨다! 그런데 굳이 this를 that에 할당한 이유는 클로저 때문이다..! 선언당시에 참조범위는 created(){} 블록이며 axios({}) 비동기 통신 로직안에 this( vue 컴포넌트 data ) 속성 상태에 변화를 주고 싶어서 아래처럼 코드를 짰다! that에 할당한 this(vueComponent)는 axios 블록안에서도 스코프 체인에 의해 vueComponent를 가리켜 컴포넌트 상태(data)에 바로 변화를 줘 바로 렌더링 될 수 있도록 한다. data() { return { lineChar..
띄워 쓰기에 주의 해야한다. 특히 , 로 경계가 나눠지지 않은 FROM 뒤의 쿼리문들은 줄바꿈 마다 " " 공백을 추가 해줘야 쿼리문을 잘 인식한다. @Query(value = "SELECT " + "c.category_no, " + "c.complete_yn, " + "c.progress, " + "c.name, " + "c.image_url, " + "c.use_yn, " + "DATE_FORMAT(c.create_date, '%Y-%m-%d %p %h:%i' ) as create_date " + "FROM Category c " + "WHERE c.admin_no = :admin_no " + "AND c.complete_yn = :complete_yn " + "AND c.use_yn = 'Y' 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