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02)
hmk run dev
Route 53 에서 도메인 구매 >> ACM에서 인증서 발급(레코드 생성 버튼 못 찾아서 시간이 좀 걸림.....) 오른쪽위의 지역을 미국 북부 버지니아(미국 동부) SSL 인증서를 받아야한다! >> 인증서 들고 CloudFront로 간다! 나머지는 밑의 블로그 참고 >> cloudFront 도메인 가지고 // 호스팅존에서 작업! >> 카카오 API에서 등록시킨 도메인 따로 등록 해줘야한다 (s3에서 만들때 버킷이름이 라우트53 도메인 이름과 같아야한다) default Root Object에 index.html 넣어주기 https://velog.io/@seeh_h/aws-https [배포] AWS S3로 배포한 앱에 HTTPS 적용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 S3를 이용해서 배포한 앱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TdmQ/btq5owsTCtD/SjKs8QwCyaKpUvrnyuiOmK/img.png)
async, await 비동기 처리할 때 필요한 친구다... 함수가 특정 함수가 실행된 후에 다른 함수를 실행시키고 싶을 때 아래처럼 써주면 된다! 아래 코드는 각각 유저의 마이페이지를 옮겨 다닐떄 (나의 페이지 >> 다른 유저 페이지 or 다른 유저 페이지 >> 다른 유저의 페이지) 원래 있던 데이터를 초기화 시켜주고 새로운 데이터를 넣어주기 위해 비동기 처리를 해주었던 코드이다 const initializeApp = async () => { await dispatch(profileActions.resetProfile([])); await dispatch(storyPostActions.resetStory([])); dispatch(profileActions.getUserInfoAPI(userId));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TkXuy/btq47UtMG9M/ujULm7dpAUunITyukgX3K0/img.jpg)
항해 10주 차 그리고 실전 프로젝트 론칭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항해도 77일 차로 점점 끝이 다가오고 있다 정말 쏜살같이 시간이 갔다 문득 돌아보니 정말 크고 작은 파도들이 많았고 아직 끝은 아니지만 여태까지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성장해온 나 자신이 너무 대견했다 ㅎㅎ... 내입으로 말하기 부끄럽지만 정말 많이 성장한 것 같다! 단순히 코드를 짜는 것 리액트를 다루는 것 외에 개발자로서 자주적으로 생각하고 하나의 문제에 대해서 다양하게 접근하는 방법 팀원들과 협업하는 방법 등등 몇 달 전의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성장한 모습인 것 같다 단순히 급급히 코드 짜기도 버거 뒀던 내가 현재는 어떤 코드가 더 효율이 좋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 모습에 가끔 놀랄 때도 있었다..... :) 단순히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