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k run dev
HTTPS로 배포하기 본문
Route 53 에서 도메인 구매
>>
ACM에서 인증서 발급(레코드 생성 버튼 못 찾아서 시간이 좀 걸림.....)
오른쪽위의 지역을 미국 북부 버지니아(미국 동부) SSL 인증서를 받아야한다!
>>
인증서 들고 CloudFront로 간다!
나머지는 밑의 블로그 참고
>> cloudFront 도메인 가지고 // 호스팅존에서 작업!
>> 카카오 API에서 등록시킨 도메인 따로 등록 해줘야한다
(s3에서 만들때 버킷이름이 라우트53 도메인 이름과 같아야한다)
default Root Object에 index.html 넣어주기
https://velog.io/@seeh_h/aws-https
[배포] AWS S3로 배포한 앱에 HTTPS 적용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 이어 S3를 이용해서 배포한 앱에 HTTPS를 적용하는 과정을 정리해 볼 것이다! Route53, Cloudfront, ACM을 이용해 도메인 구입부터 HTTPS 적용 후 배포에 이르는 전 과정
velog.io
S3, ACM, CloudFront, Route53으로 서버리스 페이지 https 배포하기 [3/4]
이제 S3에서 정적 호스팅하고 있는 페이지를 CloudFront를 통해 뿌려줄 차례입니다. 지역에 상관없이 원활하게 컨텐츠를 제공하고, ACM에서 만든 SSL 인증서를 붙이기 위해서 하는 작업이랍니다.CloudF
velog.io
https://infraboy.tistory.com/5
[AWS] Cloudfront | CDN 캐시 삭제 방법
AWS에서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당연히 Cloudfront를 사용할 것입니다. EC2나 S3에 데이터를 CDN을 설정하지 않고 웹 서비스를 한다면 성능 저하와 서비스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
infraboy.tistory.com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프로의 회사생활 팁 feat. 개발자 (아주 중요하지만 아무도 안 알려주는) (0) | 2024.03.22 |
---|---|
에디터 개발을 하면서 깨달은 점...(틀린 질문을 하니까 옳은 답이 나올 수 없다..) (0) | 2022.06.30 |
퍼포먼스 마케팅 (0) | 2021.05.16 |
좋은 개발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0) | 2021.05.12 |